
새로운 자아탄생 자기 성찰의 예술 내면적 자서전 쓰기의 이론과 실제
자서전 쓰기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을 넘어 새로운 자아를 창조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고대의 성인 어거스틴의『고백록』처럼 자신의 존재를 탐구하고 자기 이해를 심화하는 여정의 출발점이 된다. 어거스틴이 자신의 과거를 성찰하고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자신을 발견한 것처럼 자서전 쓰기는 개인이 자기 삶을 통합하고, 개인의 내면에 숨겨진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자기성찰의 예술
이상욱 저자(글)CLC(기독교문서선교회) · 2024년 06월 30일
책 속으로
책 속으로
내면의 신성발견
『자기 성찰의 예술』은 내면의 이야기이자 영적 출애굽의 여정을 다루는 책이다. 이는 단순히 자기 삶을 서술하는 것을 넘어서 자기 탐색의 여정, 내면의 신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자기 이해에 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p9
사회와 문화의 향유
자서전 작가는 자신이 살아온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배경을 뛰어넘어 그 시대의 목소리와 숨결을 전달하는 동시에 자신의 가장 개인적인 감정과 생각 그리고 가치관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글은 자신의 영혼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며, 우리가 모두 공유하는 삶의 진리와 감정의 진실성을 탐색하는 여정이 된다. p12
영적출애굽 이야기
자서전 쓰기는 우리 각자의 영적 출애굽 여정에 비유할 수 있다. 우리 삶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행위는 마치 이집트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 약속의 땅을 향해 나아가는 이스라엘 백성의 여정과 같다. 그 여정은 간단하지 않았다. 그들은 홍해를 건너고, 광야를 여행하며, 믿음을 시험받았다. 그러나 결국, 그들은 자기들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야웨의 도움으로 미래를 향해 한 발자국씩 나아갔다. p14
과거와 현재의 연결
자서전 쓰기는 우리가 살아온 삶의 다리를 놓는다. 과거의 우리, 현재의 우리 그리고 미래의 우리 사이에 위치하며 변화하는 자신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우리의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이야기를 쓰며, 궁극적으로 우리의 내면과 외부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심오한 연결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며 우리 자신을 재창조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17
과거의 단편, 미래의 서막
자서전 쓰기는 과거의 단편적인 사건들을 일관적인 흐름으로 연결하고 그 속에서 미래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과거의 이해와 현재의 행동 사이에 의미 있는 관계를 찾아내며, 자아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얻을 수 있다. 미래의 서막으로서 자서전 쓰기는 새로운 시작을 암시하며, 지금부터 미래를 어떻게 채워 나갈지에 대한 영감을 제공한다. p31
세대 간의 경험공유
자서전은 우리 삶의 서사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매개체이다. 우리가 쓴 이야기는 다른 이들에게 용기와 영감을 줄 수 있으며, 세대 간의 경험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삶이 더 큰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 있는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 이를 통해 우
리는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의 관계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다. p22
삶의 단계별 연결
자서전을 쓰는 행위는 우리에게 자아 돌아보기의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가 각 발달 단계에서 겪은 경험은 단편적인 기억에 불과할 수 있으나, 이를 문자로 옮기면서 우리는 삶의 연속성을 통해 자기 삶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게 된다. 각 단계는 우리의 정체성 형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자서전을 통해 우리는 어린 시절의 놀이가 어떻게 자아의 초기 발달에 이바지했는지, 젊은 성인으로서의 관계가 자신감과 친밀감을 어떻게 형성했는지를 성찰하게 된다(에릭 에릭슨) p22
자아통합성 강화
우리는 각자의 삶을 하나의 서사로 구성함으로써, 존재의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해 대답할 수 있다. 이 서사에서는 주인공인 ‘나’가 어떻게 세상과 상호 작용하고, 도전을 극복하며, 발전하는지가 드러난다. 삶의 이야기는 자아의 통합성을 강화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며, 우리가 누구인지 왜 여기에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맥 아담스) p23
목차
추천사 1 양 유 성 박사︱전 평택대학교 교수 1
추천사 2 박 승 로 목사︱미주성결교회 전 총무 3
추천사 3 김 현 희 박사︱한국독서치료학회 초대 회장 5
들어가는 말 11
제1장 자기 성찰 기술하기 33
1. 자서전 쓰기, 자기 통합의 여정 34
2. 『고백록』, 새로운 자아 탄생의 여정 46
3. 자서전, 인생 내러티브 만들기 58
제2장 에릭슨의 인간 성장 과학 67
1. 인간 성장 여정 추적 68
2. 인간 성장의 미스터리 풀기 72
3. 인간 성장, 자기실현으로 가는 여정 8단계 79
제3장 맥아담스(Dan P. McAdams)의 새로운 자아 탄생 여정 129
1. 맥아담스의 이야기로 존재하는 나 130
2. 맥아담스의 자기 정체성을 찾는 탐색 137
3. 맥아담스의 새로운 자아 탄생의 여정 6단계 144
제4장 자서전 쓰기 실제 200
1. 자전적 이야기 만들기 7단계 201
나가는 말 320
참고 문헌 324